와인의 기본 재료가 되는 포도는 그 품종(종류)에 따라 특성이 천차만별이며, 따라서 생산되는 와인의 맛과 향도 달라집니다. 그중 가장 대중적인 품종인 비티스 비니훼라(비티스 비니페라) 포도를 소개합니다.
비티스 비니훼라(Vitis Vinifera)
프랑스에서는 와인의 품종을 세파주(Cepage)라고 부릅니다. 이 세파주를 바탕으로 세계 주요 와인 생산지는 그들만의 매력을 가진 고유한 와인을 생산하게 됩니다.
현재 전세계에서 수확되고 있는 포도 품종은 1만개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리고 그중 약 250개의 종이 프랑스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단 10개 품종의 포도 만이 와인 생산량의 4분의 3을 차지한다고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중적인 10개 품종에 속하는 비티스 비니훼라(Vitis Vinifera) 품종은 전세계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고품질의 와인을 보장하는 와인 생산 전용 포도입니다.
즉 프랑스에서는 비티스 비니훼라 품종을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반대로 미국에서는 비티스 라브루스카(Vitis Labrusca) 품종을 많이 사용합니다.
비티스 비니훼라(Vitis Vinifera)는 대중적이지만 까다로운 품종입니다.
지중해 주위 유럽 지역에서 잘 자라고 있으며,
추위와 병충해에 약해 많은 손길이 필요합니다.
비티스 라브루스카(Vitis Labrusca)는 미국의 식용 포도종입니다.
양조용 포도인 비티스 비니훼라와 다르게 비티스 라브루스카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식용포도입니다.
추위와 병충해에 매우 강해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정리하자면, 비티스 비니훼라는 양조용 포도이기 때문에 수확이 까다롭지만 그 맛과 향이 뛰어나며, 비티스 라브루스카는 식용 포도임에도 와인 생산이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그 풍미가 개성이 없는 편입니다.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
2023.02.06 - [와인 백과사전/와인의 기초] - 와인의 타닌이란 무엇일까?
와인의 타닌이란 무엇일까?
와인에 대해 공부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타닌(Tannin)입니다. 특히 레드와인을 마실 때 와인의 특유의 떫음이 느껴졌다면 바로 타닌 때문인데요. 와인의 주요 성분인 타닌에 대하여 알아
ajona.newkeys.kr
2023.02.07 - [와인 백과사전/와인의 품종] - [와인 기본 상식] 포도 열매의 구조 제대로 알기
[와인 기본 상식] 포도 열매의 구조 제대로 알기
와인에 대해 공부하는 많은 분들이 포도 열매 자체의 특성에 대해서는 모르시는 경우가 많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와인이 시작되는 포도 열매의 구조와 특성에 대하여 공부하는 것은 와인을 더
ajona.newkeys.kr
2023.01.25 - [와인 백과사전/와인의 기초] - 와인의 향 제대로 맡는 방법
와인의 향 제대로 맡는 방법
와인은 3번 마신다는 말이 있습니다. 눈으로 한 번, 코로 한 번, 입으로 한 번씩 즐긴다는 표현입니다. 혀 끝으로 와인을 즐기기 전에 코로 와인을 올바르게 즐길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
ajona.newkeys.kr
2023.01.07 - [와인 백과사전/와인의 기초] - 와인잔의 종류 총정리(상황에 맞는 와인잔 추천)
와인잔의 종류 총정리(상황에 맞는 와인잔 추천)
와인잔은 어떤 종류의 와인을 마시느냐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디너파티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인 와인잔 9개와 각 와인잔의 장점과 단점을 알려드립니다. 어떤 와인잔(
ajona.newkeys.kr
2023.01.13 - [와인 백과사전/와인의 기초] - 와인의 온도는 몇도가 적당할까?
와인의 온도는 몇도가 적당할까?
와인의 온도는 와인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그 최적의 온도 구간이 매우 다양합니다. 레드와인, 화이트와인, 샴페인, 포트와인 등 종류별 최상의 온도 구간을 안내드립니다. 와인 종류에 따라 적
ajona.newkeys.kr
'와인 백과사전 > 와인의 품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 품종 소개] 리슬링(Riesling) 품종 (0) | 2023.02.27 |
---|---|
[와인 품종 소개] 슈냉 블랑(Chenin Blanc) 품종 (0) | 2023.02.22 |
[와인 품종 소개] 소비뇽(Sauvignon) 품종 (0) | 2023.02.16 |
[와인 품종 소개] 샤르도네(Chardonnay, 샤도네이) 품종 (0) | 2023.02.14 |
[와인 기본 상식] 포도 열매의 구조 제대로 알기 (0) | 2023.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