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의 품종에 이해한다는 것은 내가 마실 와인의 근본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과 같은 뜻입니다. 또한 와인 품종의 특성에 대하여 알고 있으면 향후 와인샵에서 와인을 고를 때도 더욱 수월해질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화이트 와인 품종인 샤르도네 품종에 대하여 알려드립니다.
샤르도네 품종
샤르도네 품종은 생산 지역과 생산 방식에 따라 껍질 자체의 향과 맛이 다양하게 변하는 대중적인 화이트 와인 품종입니다.
보편적으로 샤르도네 품종은 꽃향과 과일향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따뜻한 지방에서는 보다 부드러운 향이, 추운 지방에서는 보다 찌릿하고 날카로운 향이 강해지는 편입니다.
다시 말해 샤르도네 품종은 생산지의 특성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품종만의 고유한 매력이 강한 편은 아닙니다.
만약 레스토랑에서 샤르도네 품종의 와인을 주문하실 경우 서버 혹은 소믈리에는 상큼한 레몬이나 아카시아 꽃향 등으로 샤르도네 품종을 설명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샤르도네, 최고의 인기
샤르도네(혹은 샤도네이) 품종의 화이트 와인은 대부분의 토양에서 잘 자라는 만큼 대중적으로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가장 인기가 높은 품종입니다.
그러나 대중적이라고 해서 낮은 가격과 저품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샤르도네 품종은 일반적으로 가장 뛰어난 화이트 와인에 사용되는 품종입니다.
고가의 드라이한 화이트와인의 상당수는 샤르도네 품종에서 만들어 졌으며, 샤르도네 품종은 샴페인을 생산하는 데도 적극적으로 활용됩니다.
샤르도네, 언제나 어디서나
샤르도네 품종은 춥거나 더운 기후 모두에서 매우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포도 품종 자체가 기후의 여건에 잘 적응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추운 북쪽의 생산지일 경우 더욱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이 완성될 것이며, 따뜻한 남쪽 지방의 생산지일 경우 프루티(과일향이 나는)하고 부드러운 화이트 와인이 완성될 것입니다.
샤르도네 품종은 프랑스(부르고뉴, 샹파뉴, 프로방스 등)와 미국(캘리포니아), 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 아르헨티나 등에서 수확되고 있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
2023.02.07 - [와인 백과사전/와인의 품종] - [와인 기본 상식] 포도 열매의 구조 제대로 알기
[와인 기본 상식] 포도 열매의 구조 제대로 알기
와인에 대해 공부하는 많은 분들이 포도 열매 자체의 특성에 대해서는 모르시는 경우가 많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와인이 시작되는 포도 열매의 구조와 특성에 대하여 공부하는 것은 와인을 더
ajona.newkeys.kr
2023.02.06 - [와인 백과사전/와인의 기초] - 와인의 타닌이란 무엇일까?
와인의 타닌이란 무엇일까?
와인에 대해 공부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타닌(Tannin)입니다. 특히 레드와인을 마실 때 와인의 특유의 떫음이 느껴졌다면 바로 타닌 때문인데요. 와인의 주요 성분인 타닌에 대하여 알아
ajona.newkeys.kr
2023.01.29 - [와인 백과사전/와인의 기초] - 마시고 남은 와인 보관하는 방법
마시고 남은 와인 보관하는 방법
즐겁고 행복한 저녁 식사를 마쳤지만 준비한 와인을 모두 마시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와인이 남았다고 억지로 마실 필요는 없습니다. 마시고 남은 와인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을 알려
ajona.newkeys.kr
2023.01.07 - [와인 백과사전/와인의 기초] - 와인잔의 종류 총정리(상황에 맞는 와인잔 추천)
와인잔의 종류 총정리(상황에 맞는 와인잔 추천)
와인잔은 어떤 종류의 와인을 마시느냐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디너파티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인 와인잔 9개와 각 와인잔의 장점과 단점을 알려드립니다. 어떤 와인잔(
ajona.newkeys.kr
2023.01.25 - [와인 백과사전/와인의 기초] - 와인의 향 제대로 맡는 방법
와인의 향 제대로 맡는 방법
와인은 3번 마신다는 말이 있습니다. 눈으로 한 번, 코로 한 번, 입으로 한 번씩 즐긴다는 표현입니다. 혀 끝으로 와인을 즐기기 전에 코로 와인을 올바르게 즐길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
ajona.newkeys.kr
'와인 백과사전 > 와인의 품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 품종 소개] 리슬링(Riesling) 품종 (0) | 2023.02.27 |
---|---|
[와인 품종 소개] 슈냉 블랑(Chenin Blanc) 품종 (0) | 2023.02.22 |
[와인 품종 소개] 소비뇽(Sauvignon) 품종 (0) | 2023.02.16 |
[와인 기본 상식] 비티스 비니훼라(Vitis Vinifera) 품종이란? (0) | 2023.02.10 |
[와인 기본 상식] 포도 열매의 구조 제대로 알기 (0) | 2023.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