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와인 백과사전27 [와인 품종 소개] 카베르네 소비뇽(Carbernet Sauvignon) 품종 전세계적으로 가장 대중성이 높은 레드와인 품종을 꼽으라면 단연 카베르네 소비뇽이 1위에 선정될 것입니다. 프랑스 뿐만 아니라 세계 대부분의 생산지에서 수확하는 품종인 카베르네 소비뇽의 매력 속으로 빠져 봅시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수확되는 품종 프랑스 보르도 지방이 원산지로 알려진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이자 대중적으로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품종입니다. 레드와인 품종의 대표주자 격인 카베르네 소비뇽은 현재 사실상 대부분의 와인 생산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생산지의 토양 및 기후 등에 따라 각기 다른 맛과 향을 낸다고 합니다. 보편적으로 카베르네 소비뇽은 블랙체리, 카시스(검정 베리류), 자두 등의 풍미를 내어주며 장기 숙성될 경우에는 가죽, 담배, 들짐승의 가죽 등의.. 2023. 3. 8. [와인 품종 소개] 뮈스카(Muscat) 품종 뮈스카 품종은 청포도 그 자체의 싱그러운 단맛을 마음껏 표현해낼 수 있는 화이트 와인의 품종입니다. 뮈스카 품종에 대하여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뮈스카(MUSCAT) 품종 아주 예전의 고대 시대부터 재배되어온 작은 송이의 뮈스카 품종은 그 긴 세월만큼 유럽 전역에 걸쳐서 사랑받고 재배되고 있는 품종입니다. 뮈스카 품종의 가장 큰 특징은 와인 생산용 포도 품종 중에서 유일하게 포도 그 자체의 맛과 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뮈스카 품종은 대체적으로 단맛이 매우 강해 일반적으로 젊은층에 비해 중장년층 사이에서 인기가 더 높은 편입니다. 이태리어로 모스카(Mosca)는 초파리를 의미합니다. 예로부터 달콤한 포도인 뮈스까에 초파리가 모여드는 것을 두고 사람들이 뮈스카(Muscat)라는 이름을 붙였다.. 2023. 3. 5. [와인 품종 소개] 리슬링(Riesling) 품종 독일 그리고 리슬링 리슬링 품종은 독일에서 주로 생산되는 대표적인 화이트 와인 품종입니다. 리슬링 품종의 가장 큰 특징은 자신이 뿌리내린 토양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리슬링 품종은 자갈류의 꽤나 척박한 토양을 좋아하기 때문에, 품종 자체가 달콤한 과일, 꽃, 허브향을 내기보다는 건조한 광물향을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특히나 수년 이상 숙성시킨 리슬링 와인이라면 광물향을 넘어서 매끈한 석유향을 느낄 수도 있을 것입니다. 리슬링 품종은 일반적으로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으로 생산되는 것이 보통이며, 특히 다른 품종과는 블렌딩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리슬링, 세계 3대 화이트 와인 품종 토양의 매력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리슬링 품종은 소비뇽 블랑, 샤르도네(샤도네이) 품종과 함께 세계.. 2023. 2. 27. [와인 품종 소개] 슈냉 블랑(Chenin Blanc) 품종 슈냉 블랑 품종은 화이트 와인의 포도 품종 중 부드럽고 시원한 맛이 일품입니다. 때문에 최근 슈냉 품종을 재배하는 와이너리가 빠르게 늘고 있는데요. 슈냉 품종에 대하여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슈냉 블랑 슈냉 블랑 품종은 부드럽고 시원한 청량감으로 인해 화이트 와인 애호가들이 가장 사랑하는 품종 중 하나입니다. 슈냉 블랑이 선사하는 화이트 와인의 산도는 늘 최적의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현재 슈냉 블랑이라는 단일 품종 만으로도 드라이 와인, 스파클링 와인, 세미드라이 와인 등 다양하 화이트 와인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슈냉 블랑 품종은 망고, 복숭아, 모과 등 달콤하고 부드러운 과일 향이 뛰어납니다. 그러나 레몬, 오렌지 등의 신선한 향도 블렌딩 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한 산도 역시 즐기실.. 2023. 2. 22.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